석사 논문 출처 미표기 "송구"…“당시 기준 미비, 감안해달라”
조국 SNS 글 논란엔 "입시비리 상처 외면, 교육자로서 반성"
서울대 10개·내신 절대평가 등 정책 질의엔 기존 입장 유지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석사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처음으로 공식 사과했다. 과거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정치적 탄압’이라고 표현한 자신의 SNS 글에 대해서도 “입시 비리를 옹호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며 유감을 표했다.
최 후보자는 31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서를 통해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사 등을 인용하며 출처 표기가 없었던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2006년 목원대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 논문(‘매니페스토 운동에 나타난 정책공약 분석’)에 다수 신문기사 문장을 출처 없이 인용해 표절 의혹이 제기된 데 따른 해명이다.
그는 “당시 매니페스토 운동이라는 새로운 정치 현상을 다루기 위해 언론보도를 일부 활용할 수밖에 없었고, 그 과정에서 출처 표시가 소홀했다”며 “2006년은 연구 윤리 기준이 구체적으로 정립되기 이전이었던 점도 감안해달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회가 주어진다면 현장과 충분히 소통해 연구윤리 제도 확립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과거 조 전 장관 가족의 입시 비리 수사에 대해 ‘검찰의 칼춤’이라는 표현을 쓰며 정치적 수사라는 취지로 비판했던 SNS 글에 대해서도 유감을 나타냈다. 그는 “교육자로서 입시 비리와 관련해 청년들이 받은 상처를 먼저 살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검찰의 과도한 수사와 권한 남용에 대한 비판에 공감하는 차원에서 관련 글을 공유한 것이며, 자녀 입시 비리를 옹호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 후보자는 ‘가짜 스펙’ 활용 등 입시 비리 전반에 대한 질의에는 “어떤 상황에서도 엄중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공동저자 허위 기재 등 연구 부정행위는 당시 소속기관과 학술단체의 검증 결과를 존중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에 따라 거점국립대가 아닌 일반대학이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거점국립대에 대한 지원은 다른 대학에 대한 투자의 감액 없이 별도 증액으로 이뤄질 예정”이라며 “교육대학과 국가중심국립대가 지역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 여부를 묻는 질의에는 “고교학점제 취지를 살리기 위해 절대평가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며 “차기 대입 개편 논의 과정에서 종합적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