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서 외교장관 회의··· 3국 공동성명 채택
조현 "새 비자 제도 도입을"·루비오 "조속 해결"
한국·미국·일본 외교장관은 22일(현지시간) "한반도 비핵화 원칙과 대북 억제 태세를 견지하는 가운데 대북 정책 관련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23일 외교부는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 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조현 장관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대신과 22일(현지시간)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를 갖고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3국 장관들은 한미일 안보협력, 및 사이버 대응 공조 등 그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한반도 비핵화 원칙과 대북 억제 태세를 견지하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대응 필요성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위반·회피에 단호히 대응함으로써 대북 제재 레짐을 유지·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 장관은 "대북 대화 재개를 비롯해 한반도 평화와 북핵문제 해결의 실질적인 진전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또 3국 장관들은 경제안보 협력 및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공조 심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조 장관은 조지아 한국인 구금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 새로운 비자 제도 도입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미측의 각별한 조치를 당부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이는 3국이 아닌 양자차원의 문제이나, 우호적 동맹관계 등을 고려해 조속한 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3국은 퀀텀, 원자력, 인공지능(AI), 공급망 등 분야별 실질 협력을 확대하고, 한미일 사무국을 활용해 행동지향적 성과를 도출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장관 차원에서 이를 지속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경제 협력 부문에서 무역 등 언급은 없었다. 일본의 경우 미국과 관세 협상에 서명했지만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이행 방식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어 언급은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