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중고등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국어 과목에서 특히 기초 학력 미달률이 가장 많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2020∼2024년 시도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에 따르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모두 국어, 수학, 영어 교과 전체에서 ‘3수준(보통학력) 이상’ 성취 수준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수준 현황과 변화 추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의 3%를 표집해 국어, 수학, 영어를 중심으로 실시된다.
지난해 9월 실시된 평가에는 전국 524개교에서 2만7606명의 중·고교생이 참여했다.
교과별 학업 성취 수준은 4수준(우수학력), 3수준(보통학력), 2수준(기초학력), 1수준(기초학력 미달) 등 4단계로 나뉜다.
중학교 3학년의 경우, 2020년 기준 ‘3수준 이상’ 비율이 국어 75.4%, 수학 57.7%, 영어 63.9%였지만, 2024년엔 국어 66.7%, 수학 48.6%, 영어 61.2%로 각각 8.7%포인트, 9.1%포인트, 2.7%포인트 떨어졌다.
고등학교 2학년도 비슷했다. 2020년 당시 보통·우수학력 비율은 국어 69.8%, 수학 60.8%, 영어 76.7%였으나, 2024년 국어 54.2%, 수학 57.2%, 영어 72.4%로 각각 15.6%포인트, 3.6%포인트, 4.3%포인트 하락했다.
과목별 1수준(기초학력 미달) 비율의 추이를 보면, 국어 과목만 해당 비율이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3학년의 국어 기초학력 미달률은 2020년 6.4%에서 2024년 10.1%로 3.7%포인트 증가했고, 고등학교 2학년은 6.8%에서 9.3%로 2.5%포인트 증가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지만 교육부의 기초학력 보장 예산은은 올해 1319억원으로 작년보다 290억원 줄어든 상태다.
진선미 의원은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률이 증가한 것은 교과목 전반에 지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며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제도가 체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