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 주택 10채 중 4채가 건축 후 30년 이상 지난 노후주택으로 전국에서 2번째로 노후주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도 노후주택이 10채 중 3채에 달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8일 김승수(대구 북구을) 국민의힘 의원이 국회 입법조사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전체 주택 1987만2674호 중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은 557만4280호로 평균 28.0%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84만6848호 중 노후주택이 36만2216호(42.8%)에 달해 가장 많았다. 뒤이어 경북이 112만8786호 중 42만5982호(37.7%), 대전 52만3823호 중 19만1351호(36.5%), 전북 77만3649호 중 28만1137호(36.3%) 등 순이었다. 대구는 26만5770호가 노후주택으로 전체(90만3591호)의 29.4%에 달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한편, 통계청은 매년 주택총조사에서 건축 이후 30년이 경과한 주택을 노후주택으로 정의해 조사하고 있었으나, 노후주택의 붕괴사고에 관한 통계는 정기적으로 수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가 파악한 최근 5년간 주거용 건물 붕괴사고는 38건에 불과했는데, 매년 전국에서 발생하는 사회재난 및 각종 사고발생 현황을 제공하는 행정안전부의 ‘재난연감’에 따르면 2023년에 발생한 전국의 건축물, 외벽 등 붕괴사고는 총 2829건이었다. 이중 주거용 건물에서 발생한 붕괴사고는 581건이었다.

김 의원은 “최근 폭우와 폭염 등 기후재해가 빈번해지면서 노후주택은 지반 침하나 구조물 약화 등 심각한 안전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며 “노후주택의 정비와 안전 점검에 대한 평가 체계를 강화하고, 재정적 지원과 법적 보호대책을 마련하는 등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