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신입생 중 여학생 비율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올해는 의대 외에도 약대, 수의대, 치대 등 다른 의약학 계열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9일 종로학원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39개 의대, 정원 내 입학자 기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학년도 의대 신입생 중 여학생 비율은 38.4%로 2021학년도 (34.1%)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 의대 신입생 중 여학생 비율은 증가세를 보였다.2022학년도 35.2%, 2023학년도 36.2%, 2024학년도 37.7%다.

'빅5 병원'을 둔 의대 5곳의 올해 여성 신입생 비율을 보면, 서울대 31.3%, 연세대 31.8%, 성균관대 31.2%, 가톨릭대 34.4%, 울산대 50%였다. 

증가폭이 가장 큰 울산대 의대는  4년 전인 2021학년도 당시 비율은 34.1%였다.

또한 다른 지방권 의대도 여성 신입생 비율은 4년 전 33%에서 올해 39.8%로 큰 폭으로 늘어났다. 이 현상은 지역인재선발 확대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의대 신입생 중 여학생 비중이 높아진 건 의약학 계열에서도 같았다.

약대의 경우 2022학년도부터 학부로 전환된 후 여성 신입생 비율이 54.9%였으나 올해는 58.1%를 기록했다.

수의대는 4년 전 42.5%에서 올해 50.4%로, 여학생이 신입생 절반을 넘었다.

치대는 4년 전 33%에서 올해 38.1%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한의대는 올해 비율은 43.6%로 4년전 43.5%와 비슷했다.

종로학원은 "여학생의 의약학 계열 신입생 비율이 커지는 양상"이라며 "이는 학교 내신 관리를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타이트하게 하는 상황과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서울 주요 대학의 첨단학과와 반도체 등 대기업 계약학과의 여성 신입생 비율은 2023학년도 13.3%, 2024학년도 17.7%, 2025학년도 15.8%로 10%대를 유지하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여학생 비율이 의약학 계열에서 높고, 반도체 등 계약학과에서 낮은 것은 여학생들의 과탐 과목에 대한 선호도와도 연관돼 있다"며 "여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물리를 기피하고 생명과학을 선호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