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지역만들기 위한 현실적 대책 절실

안효창 기자

경북 북부의 작은 군, 봉화가 빠르게 비어가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봉화군 인구는 2020년 3만 명대에서 2025년 현재 2만4천 명 수준으로 줄었다. 고령화율은 45%를 넘고, 청년층 유출이 심화되면서 지역의 지속 가능성마저 흔들리고 있다.

‘인구 소멸 위험 지역’이라는 낙인이 붙은 지 오래지만, 정작 눈에 보이는 변화는 더디다. 일자리 부족과 교육·의료 인프라 열악, 문화적 여건 미비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젊은 세대는 봉화를 떠나고 있다. 남은 이들은 노년층이 대부분이다.

군은 귀농귀촌 지원금, 주거비 보조, 결혼·출산 장려금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일시적 유입에 그치고 있다. 인구를 늘리려면 단순한 ‘금전적 유인’보다 삶의 질이 보장되는 정주 환경 조성이 먼저다. 안정된 일자리, 아이를 키울 수 있는 교육환경, 의료 접근성 개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정책은 빈 껍데기일 뿐이다.

특히 석포제련소와 같은 지역 핵심 산업의 존속 문제는 봉화 경제의 근간과 직결된다. 환경과 산업, 일자리의 균형을 찾는 것이 인구 유지의 출발점이다. 또한 봉화가 지닌 청정 자연·농업 기반을 활용해 친환경 산업과 지역 맞춤형 관광 자원화를 추진하는 방향도 고민할 만하다.

지금 봉화가 필요한 것은 숫자상의 인구 증감이 아니라, “머물고 싶은 봉화”를 만드는 변화다. 지역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행정의 정책적 의지와 함께 군민 스스로의 인식 전환이 병행돼야 한다.

사람이 떠나는 이유를 직시할 때, 봉화의 내일이 보인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