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간 농어업인 자살사망자, 경북 242명 최다...충남·전남·경남 순 - 정의의원, 농어업인 복지 삶의 질 향상 위해 범부처 대책 마련 절실

▲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
농림축산식품부가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최근 5년치(2019~2023년) ‘자살예방백서’조사 결과, 자살로 인해 사망한 농어업인이 177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어업인 자살사망자는 △2019년 382명 △2020년 360명 △2021년 324명△2022년 351명△2023년 355명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23년의 경우, 농어업인 자살사망자 355명 중 남성이 316명, 여성이 39명으로 밝혀졌다. 지역별로는 △경북 242명 최다△ 충남 208명△전남 206명△경남 155명 △경기 142명△전북 116명△강원 98명△충북 98명△제주 56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어촌 주민 10명 중 1명꼴로 우울 증상을 보인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농촌진흥청이 지난해 전국 농어촌지역 3,990가구를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 실시한 ‘2024년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에 따르면, 농어촌 주민의 우울감 측정 결과 우울 증상이 있는 층이 10.1%, 정상범주에 있는 층이 89.9%로 나타났다.

연령별 우울 증상을 보인 비율은 △30대 이하 8.6%△40대 4.8%△50대 8.1%△60대 10.8%△70대 이상 16.9%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 증상이 있는 층의 비율도 높아졌다.

정희용 의원은 “농어업인 한 분, 한 분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세심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해 농식품부·해수부·복지부 등 관련 부처가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