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유출 원인, 현행 청년정책의 실효성도 따져...대구시 맞춤형 청년정책 마련 촉구
이날 대구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대구시 군사시설이전정책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국군부대 합의각서 체결과 이전지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계획, 캠프워커 서편부지 및 47보급소 반환협상 등 군부대 이전사업과 캠프조지 반환부지 개발 등 미군 반환부지 관련 추진사업의 진척상황 등을 점검하고 차질없는 추진과 노력을 당부했다.
임인환(중구1) 위원은 미군부대 이전사업의 비현실성을 지적하고, 중구 수창동 주한미군 47보급소가 SOFA과제 협상부터 난항을 겪고 있는 부분과 함께 이전시기, 방법 등을 점검하는 한편 장기간 방치 시 주변 지역의 우범지대화와 슬럼화를 막을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김지만 위원(북구2)은 국군부대 통합 이전사업은 기부 대 양여사업으로 사업의 신속추진을 위해 안정적인 재원확보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특히 국군부대 후적지 개발과 관련해 통합이전사업의 첫 삽을 뜰 때 지역 주민들과 발맞춰 후적지 개발구상 마련을 주문했다.
문화복지위원회는 청년여성교육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청년정책의 실효성을 더 높이고 여성과 아동이 안전하게 보호받으며 지속 가능한 보육환경을 조성하는 등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박창석(군위군) 위원장은 대구 청년 유출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구시 맞춤형 청년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경제환경위원회는 대학정책국과 대구도서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라이즈(RISE) 및 글로컬 대학 사업의 성과 부진 문제를 집중 지적하는 한편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 대한 감사에서는 지하도상가, 실내빙상장, 신천물놀이장 등 시민이용 시설의 안전과 운영에 대한 사항을 세밀하게 점검했다.
교육위원회는 5개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유치원 통ㆍ폐합, 학교 도서구입, 교육환경전환 전학, 교육지원청의 역할, 학교폭력, 부계중학교 신입생 모집 등 다양한 분야의 현안 사업 전반을 점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