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가 11일 검찰의 ‘대장동 개발비리 항소 포기’ 결정을 둘러싼 국정조사 추진 여부를 논의했지만, 입장차만 확인한 채 결론을 내지 못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국정조사 실시 방안을 조율했지만 “합의에 이른 게 거의 없다”고 양당 원내수석부대표가 전했다.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회동 직후 “국정조사와 관련해 계속 논의하는 것으로 정리됐다”며 “시간이 되는 대로 원내대표 간 회동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야는 국정조사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조사 명칭과 목적을 두고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렸다. 민주당은 검찰의 수사·기소 자체가 조작이라는 전제하에 이번 항소 포기는 ‘정당한 자제’였다는 입장이고,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권의 외압’이 작용한 사안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날 회동에서도 이 같은 인식차는 고스란히 드러났다.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가 회동 후 기자들에게 “조작 기소와 항명, 항소 자제에 대한 국정조사는 추후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하자, 유 수석부대표는 “발언을 정정해야 한다. 항소 자제가 아니라 외압에 의한 항소 포기”라고 반박했다.
이에 문 수석은 “외압 여부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단정해선 안 된다”며 “자당에 유리하게 표현한 것은 아니다”고 응수했다.
한편 여야는 이날 회동에서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구성 문제도 논의했으며, 이 사안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 의견 접근을 본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