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관광객 결제 편의 향상·지역경제 활성화 ‘두 마리 토끼’ 잡아

▲ 모바일 간편결재 이미지
대구시와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관광본부는 외국인 관광객의 결제 편의 증진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모바일 간편결제 환경 조성 사업'이 도입 6개월 만에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문예진흥원에 따르면 이 사업은 외국인 관광객이 자국에서 사용하던 모바일 결제 방식을 대구에서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관광 인프라 사업이며, 상인과 관광객 간 언어소통의 어려움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지난달말 기준으로 대구 전역의 약 5만5000개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외국인 간편결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사업 추진은 작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외국인 관광객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소비한 업종과 매장 데이터를 분석, 지난 6월부터 동성로 관광특구를 포함한 대구 전역에서 본격 시행했다.

문예진흥원은 매장이 간편결제가 가능한 업소임을 인식하고 현장에서 즉시 결제할 수 있도록 QR코드 꾸러미(결제 안내물)를 제작·배포하고, 글로벌 결제사 ‘PX페이 플러스(PXPay Plus)’ 및 ‘알리페이플러스(Alipay+)’와 협력해 결제금액 최대 50% 할인 및 적립금 최대 40% 제공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지난달말까지 대구 내에서의 외국인 간편결제 이용 건수는 약 27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4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흥원은 이는 간편결제 인프라 확충 노력과 글로벌 결제사 협력의 성과라고 분석했다.

한편 문예진흥원은 지난 4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한 '2025년 지역 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공모에 선정됨에 따라 대구의 모바일 간편결제 환경 조성에도 큰 힘을 얻게 됐다고 밝혔다.

대구시와 문예진흥원은 앞으로도 간편결제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민관협력 이벤트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대구 지역이 강점을 가진 소비 업종과 관광객 친화형 매장을 중심으로 프로모션을 강화하는 등 대구가 여행하기 편리한 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변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강성길 문예진흥원 관광본부장은 “인프라 구축, 글로벌 결제사와의 MOU를 통한 협업 등 다방면의 노력으로 간편결제 거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글로벌 결제사 협업을 확대해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 소상공인 매출 증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