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시민 참여 결합한 복지사각지대 해소, 고독사 예방 체계 구축

시는 한국전력공사 영주지사와 협력해 AI 데이터를 활용, 전력 사용량과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징후를 감지하는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상 패턴이 확인되면 담당자가 즉시 현장을 방문해 조치하며, 올해 시범 운영에서만 136건의 알림이 발생해 위기 가구를 조기에 발견했다.
또한 ‘스마트플러그 설치 사업’을 통해 고독사 위험이 높은 1인 가구 100가구에 IoT 안전장치를 보급했다. 전력량과 조도 변화를 감지해 일정 시간 변화가 없으면 자동 알림이 전송되며, 사생활 침해 없이 안전을 지킬 수 있다.
기술 돌봄과 함께 사람 중심 복지공동체도 활성화되고 있다. ‘사랑의 건강음료 지원사업’은 배달원이 저소득 1인 가구에 건강음료를 전달하며 안부를 확인하고, 지난해 7800회 방문을 통해 10건의 위기 상황을 조기에 발견했다.
‘복지등기우편 서비스’와 ‘복지사각지대 신고센터’를 통해 시민 누구나 위기가구를 신고할 수 있으며, ‘행복기동대’는 이·통장과 자원봉사자 200여명이 참여해 마을 곳곳을 돌며 위기 가구를 발굴하고 복지서비스로 연계하고 있다.
영주시는 앞으로 △복지터치포인트 구축 △청년 고독사 예방 프로그램 추진 △스마트플러그 보급 확대 등 생활밀착형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기술과 사람의 온기가 함께하는 복지행정을 실현할 계획이다.
정근섭 복지정책과장은 “혼자 지내는 시민이 늘어날수록 작은 변화에도 관심을 갖는 것이 진짜 복지의 시작이다. AI와 지역 공동체가 함께하는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통해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