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항공편 취소·유학 자제령까지… 외교 경고서 실질 조치로 확산
랴오닝함·둥펑미사일까지 거론… “정면 공격은 군사적 의미” 경고
日 “발언 철회 없다”… G20 계기 정상회담 추진에도 대화 불투명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UPI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UPI 연합뉴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국회에서 ‘대만 유사시’를 집단 자위권 발동 사유로 규정할 수 있다고 밝힌 뒤, 중국 정부와 관영 매체가 연일 강경한 반응을 쏟아내며 중일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중국은 “모든 후과는 일본이 감당해야 한다”, “정면 공격을 가할 것” 같은 표현을 앞세우며 대일 제재와 교류 중단 가능성까지 언급하고 있다. 관영 매체 ‘위위안탄톈’은 중국이 이미 실질적 반격 준비를 마쳤으며, 과거 제재 리스트의 상당수가 대만 문제와 관련됐고 일본 정치인도 다수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14일엔 중국 외교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 자제를 권고했고, 이어 16일에는 해경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 순찰 사실을 공개했다. 중국은 이 해역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일본의 관련 발언이나 행동에 해경선을 동원해 무력 시위를 벌여왔다.

이와 함께 중국 외교부는 일본행 항공편에 대해 중국 주요 항공사들이 무료 취소 조치에 나섰다고 발표했으며, 홍콩 정부도 주민들에게 일본 여행 주의를 당부했다. 교육부 역시 자국 학생들에게 일본 유학 계획을 신중히 검토하라는 ‘유학 자제령’을 내렸다. 단순한 외교 수사에서 나아가 중국 내부 사회 전반에 일본에 대한 경계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전방위적 대응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위위안탄톈은 ‘정면 공격’이라는 표현이 단지 외교적 수사가 아닌 군사적 함의를 담고 있다며, 랴오닝함·산둥함·푸젠함 등 자국 항모 전력과 시험 항해 중인 경항모 쓰촨함, 둥펑 탄도미사일 등을 거론하며 위협 수위를 높이기도 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체면 손상이 중국 측 반발을 키운 배경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카이치 총리와 시 주석은 지난달 31일 경주에서 회담했고, 직후 중국은 무비자 조치 연장과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개 등 유화적 태도를 보였다. 그런데 다카이치 총리가 7일 국회에서 유사시 무력 개입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는 설명이다.

중국 외교부가 일본대사를 초치한 것도 공산당 최고지도부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올해가 일제의 대만 점령 종료 80주년이라는 점도 반발 강도를 높인 요인으로 거론된다.

중국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철회를 요구하고 있지만, 총리는 이를 받아들일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일본 언론은 철회 시 보수층 지지 이탈과 중국의 추가 요구 가능성을 이유로 실현 가능성을 낮게 본다.

일본 정부는 외교 채널을 통해 갈등 확산을 막으려 하고 있다.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입장차가 있는 만큼 중층적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고, 국가안전보장국장을 중국에 파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22일 남아공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다카이치 총리와 리창 중국 총리의 회담이 추진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중국과의 원활한 소통 창구가 부족하고, 중일 관계 개선에 힘써온 공명당이 연립여당에서 이탈한 점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아사히신문은 이번 갈등이 수년간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고, 닛케이는 중일 경제 교류 위축이 ‘다카이치 외교’의 시험대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