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여성 가산점 정량 방식 도입… '청년 1번' 비례 배치도 논의
기초단체장도 PPAT 대상 포함… 성범죄는 사면·복권과 무관하게 배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나경원 지방선거총괄기획단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 광역자치단체장들이 1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지방선거총괄기획단-시도 광역단체장 연석회의'에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국민의힘 제공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나경원 지방선거총괄기획단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 광역자치단체장들이 1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지방선거총괄기획단-시도 광역단체장 연석회의'에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국민의힘 제공

국민의힘이 내년 6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직후보자 경선에서 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기존 50%에서 70%로 높이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중심의 경선 방식을 강화하는 가운데, 국민의힘도 ‘당심’의 비중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조정한 셈이다.

국민의힘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은 21일 국회에서 제4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경선 규정 개편안을 확정해 최고위원회에 건의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경선은 ‘당원 70% : 여론조사 30%’ 비율로 치러진다.

기획단 위원장인 나경원 전 의원은 “당세 확장을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청년과 여성 신인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한 가산점 제도도 개편된다. 종전의 득표율 비례 방식 대신 득표율에 일정 수치를 더하는 정량 방식이 도입되며, 만 34세 이하 청년에게는 20%포인트, 35세 이상 44세 이하 청년에게는 15%포인트, 45세 이상 여성 신인에게는 10%포인트가 각각 가산된다.

기획단 대변인 조지연 의원은 “정량적 가산점이 더 실효적”이라며 “청년과 여성의 정치 진입을 돕는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청년 인재 영입도 강화된다. 중앙당이 주관하는 ‘청년인재 대국민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인물을 17개 시·도 광역의회 비례대표 명부 상위 순번에 배치할 계획이며, 여성 청년은 1번, 남성 청년은 2번에 배치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예비 후보자 검증 절차도 확대된다. 기존에는 광역·기초의원 출마자에게만 적용되던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 응시 대상을 기초단체장 후보까지 확대하고, 교육 이수 후 후보자 역량·공직 역량·정책 역량 등 세 분야의 시험을 치르도록 할 예정이다.

공천 배제 기준 역시 강화된다. 부정부패, 삼권분립 및 법치 훼손, 막말, 직장 내 갑질, 뇌물성 경조사비 모금, 부동산·주식 불법 거래, 입학·채용 비리 등이 부적격 사유로 명시되며, 성범죄 및 아동·청소년 대상 범죄는 사면·복권 여부와 관계없이 원천 배제된다. 이 기준은 당규에 명문화될 예정이다.

또한 오랜 기간 당에 헌신한 인물이 실질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당 기여도’와 ‘당원 모집 실적’ 등을 공천 심사 항목에 반영하기로 했다. 기획단은 오는 25일 국민의힘 소속 기초단체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제도 개선안에 대한 의견도 추가로 수렴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