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첫 취업 직격탄… 제조·건설업 중심 8만개 감소

기업들의 신규 채용 축소가 지속되면서 20대 이하·30대 모두에서 일자리가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23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중 2030세대 신규채용은 240만800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6000개 줄었다. 이는 2018년 통계 도입 이후 2분기 기준 최소치다.
2030세대 신규채용 규모는 2022년 279만3000개, 2023년 272만5000개, 지난해 252만4000개로 계속 감소해 왔다.
2018년 285만6000개와 비교하면 50만개 가까이 줄었다.
20대 이하 신규채용은 137만개로 전년 대비 8만4000개 감소했다.
30대 신규채용은 103만8000개로 1년 새 3만2000개 줄었다. 두 연령대 모두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신규채용 일자리는 기업 신설이나 사업 확장 등으로 새롭게 생긴 일자리를 의미한다. 신규 일자리가 줄었다는 것은 기업이 기존 인력 외에 추가 채용을 축소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감소가 두드러졌다.
2분기 기준 건설업의 30대 이하 신규 일자리는 18만7000개로 1년 전보다 3만2000개 감소했다. 제조업의 30대 이하 신규 일자리는 42만8000개로 전년 대비 4만8000개 줄었다.
두 업종에서만 약 8만개의 청년층 일자리가 사라진 셈이다. 이는 전체 감소분(11만6000개)의 약 70%에 달한다.
고용 위축에는 업종별 경기 둔화뿐 아니라 인구 구조 변화, 노동시장 변화 등 구조적 요인도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AI 기술 확산, 정년연장 논의와 같은 제도·환경 변화도 기업들의 신규채용을 신중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거론된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일자리전담반 회의에서 “산업·인구구조 변화와 노동시장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청년층 고용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다”며 청년 취업 지원 정책을 향후 경제성장 전략에 우선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