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년 G20 의장국 수락…“국제사회 책임 다할 것”
“광물 보유국·수요국 모두 이익 보는 공급망 구축 필요”
“AI로 소외 없는 기회 제공…아프리카 교육 지원 확대”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이틀째 일정에 이재명 대통령이 손을 흔들고 있다. AFP 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이틀째 일정에 이재명 대통령이 손을 흔들고 있다. AFP 연합뉴스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핵심 광물의 보유국과 수요국이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를 위한 공정한 미래(Future for All)'를 주제로 열린 정상회의 제3세션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며, 핵심 광물 공급망 문제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협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최근 희토류 등 전략적 자원의 공급이 지정학적 갈등의 핵심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올해 회의에서 논의된 'G20 핵심광물 프레임워크'의 의미를 높게 평가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 의장국으로서 공급국과 수요국의 필요에 맞는 협력사업을 적극 확대해 왔다"며 "'한-아프리카 핵심광물대화'를 통해 상호 신뢰에 기반한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국제사회와 함께 포괄적이고 회복력 있는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AI) 분야와 관련해서는 기술 발전의 혜택이 특정 국가나 집단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기술의 발전이 모든 국가와 모든 이들에게 고른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하며, G20이 아프리카 국가들을 위한 'AI 포 아프리카(AI for Africa)' 이니셔티브를 발표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도 인류 전체가 AI 혜택을 고루 누리는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해 국제사회와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 자격으로 추진한 'APEC AI 이니셔티브'를 언급하며, "이 정신이 아태지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AI 디지털배움터' 구축과 청년 맞춤형 AI·소프트웨어 교육 확대 정책을 소개하고, "가나와 탄자니아에서 여성·청소년을 위한 수학·과학 교육을 지원하고, 르완다에는 소프트웨어 특성화고를 건립했다"며 앞으로도 아프리카 내 여성과 청년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대한민국이 오는 2028년 G20 정상회의 의장국을 맡는 데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G20이 국제경제협력을 위한 최상위 포럼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G20 정상회의 출범 당시 함께 설계에 참여한 나라로서, 출범 20주년이 되는 2028년 다시 의장국으로서 여정을 함께 이어가려 한다"고 밝혔다.

이날 세션에서는 핵심광물, 인공지능,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기술과 자원 기반의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이 대통령은 "기술의 발전은 인류에게 큰 기회이자 동시에 커다란 도전"이라며, "AI 혁신과 핵심광물 공급망 회복력 강화가 포용적 기회 창출로 이어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넬슨 만델라 베이 목표'와 '브리즈번-이테쿠이니 목표' 채택을 환영한다"며, 포용적 성장과 사회적 연대를 위한 G20의 공동 노력에 대한 기대도 함께 나타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