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일반고 직업반 졸업생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취업 대신 대학 진학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생 5명 중 1명은 취업과 진학 어느 쪽도 선택하지 못한 상태로 파악됐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를 발표했다.
통계는 매년 4월 1일 기준 고용보험·건강보험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해 졸업생의 진로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올해 2월 전국 575개교 직업계고 졸업생 5만9661명 중 취업자는 1만5296명, 진학자는 2만9373명으로 집계됐다. 진학·입대·제외 인정자를 제외한 졸업자 대비 취업률은 55.2%로 전년보다 0.1p 하락했다.
반면 졸업자 대비 진학률은 49.2%로 1.2p 상승했다. 별다른 사유 없이 취업도 진학도 하지 않은 미취업자 비율은 20.8%로 0.5p 줄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직업계고 주요 취업 분야가 제조업인데 현재 제조업 고용 여건이 매우 좋지 않다”며 “첫 취업이 어려운 상황이 심화하면서 학생들이 숙련을 쌓기 위해 대학 진학을 택하는 흐름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학교 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가 73.1%로 가장 높았다. 이어 특성화고 52.4%, 일반고 직업반 38.2% 순이다.
취업자 중 사업장 규모는 30∼300명 미만이 33.7%로 가장 많았으며, 1000명 이상(25.4%), 5∼30명 미만(24.6%), 300∼1000명 미만(10.9%), 5명 미만(5.3%)이 뒤를 이었다.
특히 300명 이상 기업 취업 비중은 36.3%로 4년 연속 증가해 “취업의 질이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지역별 취업률은 대구(67.8%), 경북(63.9%), 대전(60.7%), 울산(60.3%), 세종(59.8%) 등 10개 시도가 전국 평균(55.2%)을 웃돌았다.
한편, 지난해 4월 기준 직업계고 출신 건강·고용보험 가입자 1만6435명을 추적한 결과, 6개월간 고용을 유지한 1차 유지 취업률은 83.1%, 1년간 유지된 2차 유지 취업률은 68.2%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