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지방시대 구현을 위해 중앙과 지방의 소통과 협력의 장이 2.10(금), 전북도청에서 ‘제3회 중앙지방협력회의’한 후,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 ||
제3회 중앙지방협력회의
‘중앙지원단’로 전담기구 개편
자치조직권 확대 협의체 구성
지방소멸기금 배분기준 보완 등
李 지사, 부의장 자격 4건 심의
지방시대 구현을 위해 중앙과 지방의 소통과 협력의 장이 지난 10일 전북도청에서 열렸다.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중앙지방협력회의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중앙행정기관장, 17개 시·도지사, 지방4대협의체 대표회장 등이 모여 지방자치·균형발전 관련 중요 국가정책을 논의하는 회의다.
이철우 도지사는 중앙지방협력회의의 공동 부의장이며 시도협의회 회장으로 지방시대를 위한 다양한 의제와 과제들을 현실화 하고 있다. 중앙지방협력회의는 대통령(의장), 국무총리 및 시·도지사협의회장(공동부의장), 기재부·교육부·행안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법제처장, 지방4대협의체(시·도지사, 시·도의회의장협의회장, 시·군·구청장협의회장, 시·군·구의회의장협의회장), 자치분권위원장, 국가균형발전위원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중앙지방협력회의법 시행령 개정계획’,‘중앙권한 지방이양 추진계획’,‘지방정부 자치조직권 확대 방안,‘지방소멸대응기금 개선 방안’네 건의 안건에 대한 심의가 이루어졌다.
먼저, 중앙지방협력회의법 시행령 개정계획은 행안부에 설치된 ‘중앙지방협력회의지원단’을 ‘중앙지원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회의 운영 및 중앙 안건의 발굴·조정을 담당하도록 하고 지방4대협의체에는 ‘지방지원단’을 설치하여 지방안건의 발굴·조정을 전담하도록 했다.
또한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으로 과감하게 이양하여 지방의 실질적인 변화와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6개 분야 57개 과제를 선정하여 우선 추진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권한이양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방정부 자치조직권 확대에 대한 논의로 지방정부 행정기구 설치‧운영 자율성 확대, 부단체장 정수 자율화, 지방의회 권한 강화 등에 대해 향후 행안부·시도(조직부서)·지방4대협의체 등으로 협의체를 구성하여 조직권 확대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리고 지방소멸 및 지역인구 감소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금 배분시 인구감소지수 추가 등 지방소멸대응기금 배분기준을 보완하기로 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이번 회의에서 성공적인 지방시대를 만들어 가는 데 필요한 심도 있고 실효성 있는 논의의 장이 마련된 만큼 앞으로 자치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이란 통합적 아젠다에 경북이 가장 앞서 나가며 지방시대 대전환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며 의지를 밝혔다.
관련기사
- 이철우 경북도지사 2023년 지방 외교 본격 시동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 만들어 갈 것
- 이달희 경제부지사, 지방시대 주도 할 지역 혁신산업 발굴, 현장 소통
- 이철우 도지사“수도권 청년 독과점, 지방인재 키워 풀어야”
- 경북도, 새로운 “지방대학 시대” 선도모델 이끈다
- 경북‘K-로컬 7대 프로젝트’지방소멸 막는다
- 경북도, SK투자 맞춤 인재양성 나섰다
- [安民館통신] 이철우 도지사의 ‘혁명’
- 경북도“지방시대, 젊은 공무원들이 앞장서야”
- [安民館 통신]이철우 도지사 “에너지도 지방시대 대전환을”
- 이철우 "포항 이차전지, 새로운 지방시대 연다"
- 경북도·23개 시군 “인구유출 막자”
- 경북도, 올 첫 추경 5176억 편성··· 당초 대비 4.3%
- 이철우, 道 인구 대반전 프로젝트'작은서울’ 만든다
- 이철우 “지방시대 혁명은 청년 성공시대”
- 이철우 지사“공공기관 30곳 경북에 우선 유치”
- 세계인이 찾는 경북, 한국관광 대표 도시로‘우뚝’
- [安民館통신]'전기료 차등제' 에너지 지방화 혁명 ‘탄력’
- 퇴계선생 귀향길 걸으며 지방시대 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