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가치 활용한 전문인력 육성
스테이 사업으로 정주인구 확보
소규모 마을 상생협력 모델 개발
이웃사촌마을 확산 등 4개 구성
“서울 버금가는 주거환경 조성”
지방소멸의 한 가운데에 서 있는 경북도가 인구 늘리기 대 반전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경북도 '2023 인구 대 반전 프로젝트'는 이철우 지사의 철학인 ‘확실한 지방시대’를 구축하기 위한 돌파구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경북도 인구대반전 프로젝트는 크게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 △경북 스테이 프로젝트 △경북형 소규모마을 활성화 사업 △이웃사촌마을 확산 사업을 포함해 4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은 지역 인재의 지역자원 발굴·개발을 통한 지역 내 정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한 로컬 스쿨 운영 △지역별 거점을 활용한 로컬 기획 전문 인력 양성 △체인지업 사업화자금 지원 △성장지원 등 4단계로 진행된다.
특히 올해 추진하는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은 청년 인구 유입을 목표로 연령 등 조건이 맞는 경우 전국에 거주하는 누구나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지역 인재'를 폭넓게 인정하고 있어 향후 이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해 실제 인구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른바 '도시청년 경북스테이 프로젝트'다.
'경북스테이 프로젝트'는 국가적 인구감소 위기 속에서 지역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대도시 생활(관계)인구 확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정주인구 유입을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는 ①경북형 작은 정원(클라인가르텐) 조성 ②두 지역 살기 기반 조성 ③유휴자원 활용 지역활력 사업 ④1시군-1생활(관계)인구 특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현재 도내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참여 희망 시군을 공모 중이다.
‘경북형 작은 정원 조성 사업’은 휴식, 여가, 영농 등의 다양한 체험 기회 제공을 목표로 현재 봉화군과 성주군에서 각각 ‘봉화에서 즐기는 웰니스 정원 MushroomLand’, ‘가야산 그리네 마을’등이다.
‘두 지역 살기 기반 조성 사업’은 지역 체험 등 사전 검토를 마친 예비 전입인구를 대상으로 지역유입 진입장벽을 완화하기 위한 세컨 하우스 구축 및 지역민 연계 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이외에도 경북도는 지역의 유휴자원을 활용한 ‘유휴자원 활용 지역활력 사업’을 진행하고 시군별 특성화된 살아보기 모델 개발을 목표로 ‘1시군-1생활인구 특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체험에서 정착으로 이어지는 전입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거주민이 중심이 되는 주민주도형 '소규모마을 활성화 사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삶터-일터-쉼터’로서의 마을 기능 회복을 목표로 마을 주민이 필요한 것을 스스로 채워나가도록 지원한다.
'이웃사촌마을 확산 사업'은 의성군 안계면 일원에 기 추진된 시범사업을 보완해 영천시 금호읍과 영덕군 영해면 일원에 4년에 걸쳐 추진하며 ‘청년이 돌아오는 지역’을 만드는 ‘청년·지역주도 미래경북형 마을 조성사업’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한민국 어디에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지역대학과 지역주력산업 간 연계를 통한 지역인재 육성과 지역 정착 지원정책들을 마련하겠다"면서 "경북에서도 서울에 버금가는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작은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경북도, 새로운 “지방대학 시대” 선도모델 이끈다
- 경북도, SK투자 맞춤 인재양성 나섰다
- [安民館통신] 이철우 도지사의 ‘혁명’
- 57개 중앙권한 지방 넘어온다
- 이철우 도지사 충북도 찾아“지방시대 대전환으로 판을 바꾸자”역설
- [安民館 통신]이철우 도지사 “에너지도 지방시대 대전환을”
- “원전 집적지 경북, 전기料 차등적용은 당연”
- 지방시대 잘 사는 농촌, 4-H 청년농이 이끈다!
- 이철우 “경북에서 고졸 청년 성공시대 열겠다”
- 경북도·23개 시군 “인구유출 막자”
- 이철우 “지방시대 혁명은 청년 성공시대”
- 이철우 지사“공공기관 30곳 경북에 우선 유치”
- 세계인이 찾는 경북, 한국관광 대표 도시로‘우뚝’
- [安民館 통신] 이철우 "수도권 병 치유의 해법은 지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