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집단행동 재발 막기 위한 법 개정도 촉구
정부 "사람 살리는 의사로서 환자 지켜주길
마지막까지 설득... 불법행위엔 엄정 대응할 것"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18일 전면 휴진을 하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92개 환자단체들이 의료계의 집단휴진에 참담함을 호소하며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중증아토피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환자단체들은 국회 정문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개원의와 의대교수들의 집단휴진 계획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은 18일 개원의, 교수등 모든 직역이 참여하는 전면 휴진을 예고했다. 또 같은 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에서 총궐기대회를 열고 정부를 향해 의대 증원 중단을 요구하기로 했다.
환자단체들은 이날 "대한의사협회의 집단휴진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 등의 무기한 휴진 결의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면서 "환자들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집단휴진과 무기한 휴진 결의를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넉 달간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장기간 의료공백으로 환자들은 큰 불안과 피해를 겪었다"면서 "이제 막 사태 해결의 희망이 보이는 시점에서 또다시 의료계의 집단휴진 결의를 보며 참담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아울러 "환자에게는 더 이상 기다릴 시간이 없다"며 "의료계와 정부의 일방통행에 우려를 표하며 제발 환자의 고통을 외면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해 왔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환자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다"고 했다.
환자단체는 그러면서 "정부는 의료공백 사태의 장기화 상황에서 위태로운 법적 지위 하에 일하고 있는 진료 지원 인력을 합법화해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환경을 조성하라"며 "국회는 의료인 집단행동 시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 의료는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관련 입법을 추진하라"라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의대 교수들의 집단휴진 논의로 인한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불법행위에는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총괄조정관인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회의에서 "정부는 의료계의 집단휴진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마지막까지 설득하는 한편, 불법행위에는 엄정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조정관은 "적정 치료 시기를 놓친 환자들이 얼마나 절박한 상황에 놓여있는지 누구보다 잘 아는 많은 의사들께서는 '사람 살리는 의사'로서 환자 곁을 지켜주실 거라 생각한다"며 "무엇보다 모든 의사결정에 소중한 생명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해주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의협은 18일 집단 휴진을 예고했으며 서울의대 교수들이 전날인 17일부터, 연세의대 교수들은 같은달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결의하고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역시 의협 휴진에 동참하기로 하는 등 의료계 집단 휴진 참여 규모가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