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18일 전면 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빅5'로 불리는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무기한 휴진' 결의가 확산되고 있다.
전국 주요 대형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동참키로한 가운데 대구지역 상급종합병원들도 집단휴진 참여를 논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의료공백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집단 휴진 철회를 요구하는 분위도 조성되고 있다.
전국 40개 의대 교수들로 구성된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이하 전의교협)은 12일 오후 7기 온라인으로 정기 총회를 열기로 했다.
이날 총회에서 전의교협은 오는 18일 예고한 전면 휴진에 대한 참여 여부를 놓고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관련 발표는 이날 오후 늦게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주요 대형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대구지역 주요 상급종합병원들의 움직임도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언급은 피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구지역에선 경북대 의대와 계명대 의대가 이미 휴진 결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해당 의대 교수들은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다.
다만 의협의 전면 휴진 예고와 상관없이 오는 18일 정상 운영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서울대와 연세대 등 수도권 주요 병원의 교수들이 18일 집단 휴진 카트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서울의대 교수들은 오는 17일부터, 연세의대 교수들은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하기로 결의했다.
이번 휴진은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등을 제외한 모든 외래진료와 비응급 수술, 시술 등을 중단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연세대 의대도 마찬가지로 오는 27일부터 정부가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의료대란 사태를 해결하는 가시적 조치를 취할 때까지 무기한 휴진하기로 결의했다.
서울의대와 연세의대 교수들에 이어 빅5 병원 중 하나인 서울성모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가톨릭의대 교수들 역시 무기한 휴진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울산의대 역시 오는 18일 의협 휴진에 참여하는 건 물론이고, 추가 휴진 여부도 논의 중인 상태다.
당초 알려진 것과 달리 '빅5'로 불리는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무기한 휴진' 결의가 확산되면서 환자단체를 비롯해 보건의료노동단체 등을 중심으로 집단 휴진 철회를 요구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한국폐암환우회등 6개 단체가 속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2일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수들을 향해 휴진을 철회해달라고 요구했다.
김태현 한국루게릭연맹회 회장은 정부를 향해 "법과 원칙에 입각해 의사집단의 불법 행동을 엄벌해 달라"고 촉구했다.
김성주 연합회 회장도 "서울대병원을 시작으로 다른 대형병원 교수들도 휴진을 선언할 분위기이고, 대한의사협회의 전면 휴진도 맞물려 중증질환자들은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한편 대구시와 경북도는 구지역 의원급 의료기관 1997곳과 중점관리대상 의료기관 44곳, 경북지역 1296곳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료 명령과 사전 휴진 신고 명령을 발령했다.
행정기관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18일 휴진하는 의료기관은 영업일 기준 사흘 전인 13일까지 신고해야 한다.
만약 진료와 업무개시명령을 거부하면 업무정지 15일,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처분을 받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