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명 중 174명 신원 확인
미확인 5명 DNA 조사중
사고 원인 규명 조사 본격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의 빈소가 마련된 31일 오전 광주 서구 한 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의 빈소가 마련된 31일 오전 광주 서구 한 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흘째인 31일 사망자 신원 확인 작업이 마무리를 향해 가면서 일부 희생자의 장례 절차가 시작됐다.

국토교통부는 31일 무안공항 청사에서 탑승자 가족을 대상으로 브리핑을 열어 "지문 대조로 신원을 확인하지 못한 32명 중 1차 DNA 대조에서 17명, 2차로 10명을 각각 확인했다"며 "DNA 불일치 등으로 추가 확인 중인 인원은 나머지 5명"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사망자 179명 가운데 174명 신원이 확인됐다.

국토부 등 사고 수습 당국은 시신을 무안공항 격납고에 마련한 임시 안치소 냉동시설에 보존 중이며, 수사기관의 검시 등 절차를 마치는 대로 가족에 인도할 방침이다.

다만, 온전한 상태로 수습된 시신은 소수에 불과해 유가족들이 모두 시신을 인도받기까지는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앞서 경찰 등은 흩어진 시신을 모두 인도할 때까지 사고 발생일로부터 최장 열흘이 걸릴 수도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사망자 신원 확인 작업이 마무리를 향해 가면서 시신을 인도받은 일부 유가족들은 각각 연고지 장례식장에서 장례 절차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광주 서구 한 장례식장에는 지역에 연고를 둔 참사 희생자 A씨의 빈소가 희생자 중 처음으로 꾸려졌다.

사고 현장에서는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현장 감식과 유류품 수거 작업이 계속 진행 중이다.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사고기 기체 제작사인 보잉 관계자들도 이날부터 현장 조사에 돌입해 사고 원인 등을 파악 중이다.

당국은 사고기의 조류 충돌 및 엔진 이상 여부, 랜딩기어(바퀴) 미작동 원인 등을 확인하고, 무안국제공항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 등이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과 활주로 길이가 2800m로 다른 공항보다 짧은 편인 무안공항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점검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