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수사기록 이첩 경위·대통령실 개입 여부 집중 추궁
박정훈 대령도 참고인 조사…VIP 격노설 확인 나서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6일 핵심 관계자들을 잇따라 소환 조사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 채 상병 사망 당시 경북경찰청장이었던 최주원 치안감(현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한다.
최 치안감은 2023년 8월, 해병대 수사단으로부터 사건 수사 기록을 이첩받은 뒤 이를 국방부 검찰단으로 넘긴 당사자로, 대통령실 개입 의혹이 제기된 전환 과정의 중심 인물이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경찰이 수사 기록을 국방부에 넘기는 과정에서 대통령실 개입이 있었는지 의혹 전반을 조사할 계획”이라며 “최 치안감은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는다”고 밝혔다.
최 치안감은 군인권센터에 의해 지난해 공수처에 고발된 바 있으며, 사건은 이후 특검으로 이첩됐다.
같은 날 오후에는 채 상병 사건의 초동 수사를 담당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됐다.
정 특검보는 “박 대령이 전해 들었다는 ‘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설’의 내용과 수사기록 이첩·회수 경위 등 핵심 쟁점에 대해 다시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검팀은 다음 날인 17일 오전에는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다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김 전 사령관은 앞서 특검에 한 차례 출석한 바 있으나, 당시 수사 외압 의혹 관련 질문에 대해 일부 구체적 진술을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특검보는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 당시 상황에 대해 지금까지 확보한 진술과 자료를 바탕으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공수처로부터 이첩받은 김 전 사령관의 모해위증 혐의도 함께 조사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특검은 최근 이른바 ‘VIP 격노설’과 관련해 해당 회의 참석자 7명을 특정한 상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해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조태용 전 국정원장,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등이 포함됐다.
정 특검보는 이들 중 김 전 장관의 참석 여부에 대해 “참석했다고 진술한 분이 있다”며 “명단에도 올라 있어 향후 조사 과정에서 재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특검은 이날 오후 박정훈 대령 외에도 강의구 전 대통령비서실 부속실장도 조사한다. 두 사람의 조사는 모두 특검 수사 3팀에서 진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