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기록 이첩·회수 경위 집중 추궁… 대통령실 외압 의혹도 조사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관련 초동수사 기록 회수 과정에 대통령실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순직해병특검이 16일 최주원 전 경북경찰청장(현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최 치안감은 이날 오후 2시 43분쯤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사실대로 성실히 조사받겠다”고 짧게 답했다. 그는 직권남용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된 상태다.
이어 “국방부 검찰단의 기록 회수가 적법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엔 “특검에서 판단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최 치안감은 지난해 8월 2일 해병대 수사단으로부터 채 상병 사건 초동수사 기록을 이첩받은 뒤, 같은 날 이를 국방부 검찰단에 넘긴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국방부가 경찰에 압력을 넣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군인권센터는 최 치안감이 휘하 경찰관들에게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했다며 지난 5월 공수처에 고발했다.
특검은 이날 최 치안감을 상대로 당시 지휘부의 의사결정 경위, 국가수사본부의 개입 여부, 대통령실의 외압 정황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한편 특검은 이날 오후 1시부터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을, 오후 2시부터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박 대령에겐 초동수사 상황과 수사 외압 의혹, 기록 이첩·회수 경위 등을, 강 전 실장에겐 윤석열 전 대통령이 보고 이후 격노했다는 이른바 ‘VIP 격노’ 의혹을 둘러싼 사실관계를 캐물을 예정이다.
관련기사
김민지 기자
10kmjsky@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