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사태 직접 언급… 군 본연의 임무와 국민 신뢰 회복 강조
전작권 회복·자주국방 실현… ‘국민의 군대’로 재편 의지 밝혀
스마트 강군·방산 육성·장병 처우 개선 등 3대 개혁 과제 제시
국민대표 동반 입장·박정훈 대령 훈장 수여로 상징적 메시지 부각

이재명 대통령이 1일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을 맞아 “불법 계엄의 잔재를 청산하고 헌법과 국민을 수호하는 군대를 재건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충남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군 통수권자이자 국민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불법 계엄의 잔재를 말끔히 청산하겠다”며 “군이 본연의 임무를 되찾고, 국민의 신뢰를 다시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지휘관이 최고 권력자 편에 서서 국민을 향해 총부리를 겨눴지만, 대다수 장병이 부당한 명령을 거부해 더 큰 비극을 막았다”고 했다.
기념식에는 장병과 내·외빈 등 44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6·25 참전 간호장교 출신 이종선 씨 등 국민대표 7명과 함께 입장하며 ‘국민과 함께하는 군대’를 상징했다. 흰색 군복을 입은 이씨와 보폭을 맞춘 이 대통령은 그를 단상 옆자리에 앉히며 예우했다.

단상에는 “국민과 함께하는 선진 강군”이라는 문구가 걸렸고, 이 대통령은 “군대는 국민을 지키는 존재여야 하며, ‘국민을 위한 군대’가 될 때 압도적 힘을 갖는다”고 말했다.
이어 “헌법과 민주주의 가치에 기반한 신뢰받는 군대를 만들기 위해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북한 GDP의 1.4배에 달하는 국방비를 지출하는 군사 강국”이라며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는 자주국방의 길로 가겠다”고 밝혔다. ‘자주국방’이란 표현은 이날 기념사에서 세 차례 언급됐다.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회복에 대해서도 “굳건한 한미동맹 기반 위에 전작권을 회복해 한미연합방위태세를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국방 정책 방향으로는 △스마트 정예강군 재편 △방위산업 육성 △군 장병 처우 개선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미래 전장은 AI 전투로봇과 초정밀 미사일이 주도할 것이며, 인해전술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내년 국방예산은 66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8.2% 증액됐으며, 첨단 기술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방산은 “강한 안보의 기반이자 유망한 미래 산업”이라고 했고, 장병 처우와 관련해선 “복무 여건과 보상 체계를 개선하겠다”며 “다친 장병을 외면하는 현실은 반드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선 이 대통령이 채상병 사건 수사를 주도한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했다. 훈장을 받은 박 대령은 “충성을 다하겠다”고 경례했다.
육·해·공군 사열과 무기 전시, 블랙이글스 축하 비행이 이어졌고, 이 대통령은 국민대표 및 군 관계자들과 오찬을 함께했다. 연설 당시 프롬프터 없이 A4 원고를 넘기며 연설하는 모습도 눈길을 끌었다.
마지막으로 이 대통령은 “군인의 명예는 국민의 신뢰에서 비롯된다”며 “국군 장병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 여러분이 있어 든든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념사에는 북핵 문제에 대한 직접 언급은 없었다. 대통령실은 “자주국방에 초점을 맞춘 메시지”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