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연구관·부장검사들 잇단 사퇴 요구… “공소유지 의무 포기한 셈”
노 대행 “법무부 차관이 항소 포기 선택지 제시… 수사지휘권 언급도”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사법연수원 29기)이 12일 사의를 표명했다. 대장동 개발 특혜 사건 항소 포기 논란이 검찰 내부의 거센 반발로 번지자,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검찰청 대변인실은 이날 공지를 통해 "노만석 직무대행이 사의를 표명했다"며 "자세한 입장은 퇴임식 때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노 대행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출근했지만, 거취 관련 질문에는 굳은 표정으로 침묵한 채 청사로 들어갔다. 전날에는 연차휴가를 내고 자택에서 사퇴 여부를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해 7월 심우정 전 총장 사퇴 이후 직무대행을 맡아 약 4개월간 검찰을 이끌었다.
논란은 서울중앙지검이 지난 7일,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과 김만배 씨 등 민간업자들의 1심 판결에 항소하지 않으면서 불거졌다. 일부 무죄가 선고돼 항소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대검 지휘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무부와의 사전 조율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왔다.
노 대행은 논란이 커지자 대검 과장들과의 비공개 면담에서 이진수 법무부 차관과 항소 관련 통화를 나눴으며, 당시 차관이 "항소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며 사실상 항소 포기를 전제로 한 몇 가지 선택지를 제시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수사지휘권 발동 가능성까지 언급됐다는 점에서 외압 논란이 더욱 증폭됐다. 이 차관은 관련 발언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내부의 사퇴 요구도 잇따랐다. 대검 연구관들은 “공소유지 의무를 스스로 포기한 결과”라며 공개적으로 거취 표명을 촉구했고, 대검 과장과 부장검사들도 사퇴 또는 경위 설명을 요구했다.
앞서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이 먼저 사의를 밝힌 데 이어, 노 대행까지 용퇴를 공식화하면서 검찰 지휘부는 연쇄 사퇴에 따른 공백 상황을 맞게 됐다. 후임 총장 인선과 함께 법무부와의 관계 재정립에도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