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후속회의서 정부 “국내 투자 확대” 당부
AI·반도체·수소 등 첨단 산업에 수백조 투입
전남·울산·구미 등 지방 핵심 거점 잇따라 확정
청년 고용·균형 발전 효과… “지방에서 시작되는 전환”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회의’에서 대미 투자 확대에 따른 국내 산업 위축을 우려하자, 대기업들이 수백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로 화답했다.

삼성·SK·현대차 등 주요 그룹은 향후 5년간 AI, 반도체, 수소 등 첨단 산업에 수백조원을 투입하기로 했으며, 투자 상당수가 비수도권 지역에서 집행될 예정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 450조 투자… 반도체와 AI 양축

삼성은 연구개발(R&D)을 포함해 2028년까지 국내에 총 450조원을 투입한다.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기지인 평택캠퍼스 2단지 5라인 공사에 착수하고, 메모리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이달 초 인수한 플랙트의 국내 생산기지도 건립이 추진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에서 8.6세대 OLED 생산라인을 구축 중이며, 내년 중 양산에 들어간다. 삼성전기는 부산에서 반도체 패키지기판 생산능력을 확충 중이고, 삼성SDI는 울산을 전고체 배터리 생산 거점으로 검토하고 있다.

삼성SDS는 전남에 GPU 1만5000장 규모의 국가 AI 컴퓨팅센터를, 경북 구미에는 삼성 계열사를 위한 AI 서비스용 데이터센터를 각각 건립할 계획이다. 광주는 플랙트 생산라인 후보지이며, 울산도 핵심 배터리 생산 기지로 거론된다.

삼성의 투자는 수도권을 넘어 전국 주요 거점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착공이 진행 중이거나 계획이 구체화된 사례도 적지 않다.

 

◇SK, 128조 투자… 울산·서남권에 AI 인프라 집중

SK는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을 투자한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AI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을 위한 초대형 팹 4기를 신설하며, 총 투자 규모는 최대 600조원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SK텔레콤은 울산에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며, 오픈AI와 함께 서남권 지역에 추가 데이터센터 설립도 검토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정부와 협력해 첨단 반도체 개발용 ‘트리니티 팹’도 조성 중이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대차, 전기차·수소·로봇 삼각축에 125조 투입

현대차그룹은 5년간 총 125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미래 신사업(50조5000억원), 모빌리티 R&D(38조5000억원), 생산설비 투자(36조2000억원)로 구성되며, 상당 부분이 울산과 전남 등 비수도권에 집중된다.

울산에는 전기차 전용공장과 수소연료전지 공장이 들어서고, 전남 서남권에는 1GW급 수전해 수소 플랜트와 관련 인프라가 조성된다. 이밖에 피지컬 AI 데이터센터, 로봇 파운드리 공장, AI 애플리케이션 센터도 순차적으로 구축될 예정이다.

 

◇HD현대, 전남 대불산단에 스마트조선소… 15조 투자

HD현대는 AI 기반 기계·로봇과 조선해양 분야에 총 15조원을 투자한다. 전남 대불산단에 스마트조선소 기술을 개발하고, 미국 조선소 인수 및 첨단 선박 공동 개발도 병행한다. 50억 달러 규모의 마리타임 펀드 조성도 추진 중이다.

 

◇“지방에서 시작되는 투자”… 산업지도 재편 전망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수도권에 머물지 않고, 전남·충남·울산·경북·부산·광주 등 비수도권 지역으로 실질적으로 확산될 예정이다.

삼성은 전남과 구미에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울산과 광주에도 주요 설비 투자를 검토 중이다. SK는 울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건립하고 있으며, 현대차는 울산과 전남에 전기차·수소 생산시설을 집중할 계획이다.

공장과 인프라가 지방에 조성될 예정이고, 인력 충원도 지역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번 투자는 ‘지방에도 간다’가 아니라 ‘지방에서 시작된다’는 평가가 나온다.

첨단 산업 생태계의 중심축이 수도권에서 전국으로 이동하며, 지역 고용 확대와 산업기반 다변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