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불참엔 "발언 기회조차 없을 상황… 李대통령도 아쉬움 표해"
"미국 문화원 시위는 광주 문제 제기한 것" 해명
“G7 한미 정상 불발은 미국 측 사정… 미국도 아쉬움 전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2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국제 질서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안보뿐 아니라 경제, 정치, 문화 전반에서 한미동맹의 더욱 정립, 더욱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불참 결정에 대한 일각의 ‘반미·친중 외교’ 우려를 일축하며 “과도한 해석”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한국 외교나 이재명 정부 외교가 반미 또는 친중이라는 평가는 근거 없는 비판”이라며 “대통령께서도 나토 불참에 대해 상당한 아쉬움을 표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나토 정상회의 불참 배경에 대해서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 사이의 이견으로 메인 세션 시간이 2시간 반으로 줄어 초청국들이 발언할 기회조차 없을 수 있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대통령은) 가려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참석이 불확실했고 중동 정세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최종 불참을 결정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또한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은 데 대해서는 "미국 측 사정 때문이었고, 미국 측에서도 아쉬움을 표한 것으로 안다"며 “이후 만남에 장애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토에 불참한 일본의 사례도 언급하며 “일본도 ‘한국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이례적인 표현과 함께 참석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김 후보자는 과거 '미국 문화원 점거 사건' 관련 이력으로 제기된 반미 성향 의혹에 대해서도 적극 해명했다.
그는 “당시 저는 학생회장으로 밖에 있었고, 지금 국민의힘에서 활동 중인 함운경 위원장이 당시 점거에 참여했었다”며 “함 위원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반미가 아니라 광주 민주화운동의 문제를 제기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 사건은 주한미군 철수나 반미 주장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며 “미군의 인지 아래 군 이동과 학살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문제 제기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 시위가 바람직한 한미동맹을 만드는 데 역사적으로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한미관계가 더욱 발전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저는 미국에서 두 차례 유학했고, 미국 헌법과 형사소송법의 정신을 매우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 협상 등 주요 외교 현안에 대해선 여야를 넘어 국회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