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땐 "외국인 우대 철폐", 선거 후엔 입장 후퇴… 비판 여론 확산

20일 일본 도쿄의 당사에서 가미야 소헤이 참정당 대표가 참의원 선거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EPA 연합뉴스
20일 일본 도쿄의 당사에서 가미야 소헤이 참정당 대표가 참의원 선거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EPA 연합뉴스

“일본인 퍼스트”라며 극우적 구호를 내세운 일본 참정당(参政党)이 선거에서 약진한 직후, 당 대표인 가미야 소헤이의 발언이 크게 달라졌다.

선거 유세 당시 외국인 규제 강화를 핵심 메시지로 강조하던 가미야 대표는 당선 직후 “외국인에게 특권은 없는 것 아니냐”고 발언해, 선거용 선동 아니었느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가미야 대표는 20일 기자회견에서 “외국인에게 특권이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특권? 일본에서는 없는 것 아닌가요”라고 답했다.

이어 “일본인이 평등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는 사례는 있을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선거 유세 기간 동안 “왜 일본은 외국인을 자꾸 우대하느냐”, “외국인만 혜택받는 구조가 있다”는 식의 발언을 이어온 것과는 전혀 다른 태도다.

참정당은 선거 기간 외국인 규제 강화를 전면에 내세우며 “토지 매입 제한”, “귀화 심사 강화”, “스파이 방지법 제정”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거리 유세에서 참정당 후보자들이 언급한 외국인 유학생 장학금 문제 역시, 실제로는 모든 외국인이 혜택을 받는 것이 아니며, 일부 제도는 이미 일본인 전용으로 개편된 상태였다.

유세 중 가미야 대표는 재일한국인을 겨냥한 혐오 발언까지 서슴지 않으며 강성 보수층 결집에 나선 바 있다.

이 때문에 가미야 대표의 발언을 두고 “선거 끝나자 입장 뒤집었다”, “무책임한 말 바꾸기”라는 비판이 X(옛 트위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22일 열린 추가 기자회견에서는 해당 발언에 대한 해명도 없었다.

일본 정치권 안팎에서는 참정당의 이 같은 태도 변화를 두고 "정책 일관성과 책임 의식의 결여"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참정당은 이번 선거에서 비례대표 742만 표를 얻으며 15석을 확보했고, 원내 교섭단체로 인정받게 됐다.

그러나 선거 이후 정책 노선이 흔들릴 경우, 유권자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